■ 진행 : 나경철 앵커, 김정진 앵커
■ 출연 : 석병훈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경제학과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굿모닝 와이티엔]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경제 소식을 빠르고 친절하게 전달해 드립니다. 오늘 굿모닝경제는 석병훈 이화여자대학교 경제학과 교수와 함께합니다. 어서 오세요. 윤석열 대통령이 아세안, 인도네시아 방문 일정에 돌입을 했습니다.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 그리고 인도로 이동해서 G20 정상회의에도 참석하는데 새로운 투자처로 요즘 이 지역들이 각광을 받고 있죠? 아세안과 인도, 왜 주목해야 할까요?
[석병훈]
그렇습니다. 지금 미중 갈등 와중에 공급망에서 중국을 배제하고자 미국이 강력하게 푸시를 하고 있으니까 그 중국의 대안으로 인도와 아세안에 있는 국가들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중국 같은 경우에는 그동안에 인구 규모가 커서 인건비도 저렴하고 내수시장도 크기 때문에 그러한 강점으로 세계의 공장 역할을 해 왔었는데요. 문제는 중국 정부가 인구를 줄이기 위해서 가구당 아이 1명만 출산을 허용하는 원차일드 팔러스라고 하는 강력한 산아제한 정책을 오랫동안 추진해 왔습니다. 그 결과 인구 감소가 본격적으로 시작돼서 이제는 인건비도 많이 올라간 상황이거든요. 그런데 반면에 인도하고 아세안 같은 경우는 인구도 급격히 증가해서 젊은 노동력이 풍부하고요. 그래서 인건비도 중국보다 저렴합니다. 그리고 인구가 인도 같은 경우는 세계 최대 인구 대국이 돼서 중국의 인구를 추월하다 보니까 아주 큰 소비시장도 가지고 있습니다. 물론 이거는 동남아시아에 있는 아세안 국가들도 마찬가지죠. 상대적으로 인구가 많아서 노동력도 풍부하고 내수시장도 큽니다. 그러다 보니까 올해 세계 경제가 부진한 와중에도 인도랑 동남아, 아세안 국가들의 경기는 상당히 상대적으로 호황을 보이고 있고요. 그다음에 경제 규모 면에서 살펴보더라도 국제통화기금 기준으로 한국은 국내총생산 순위가 세계 10위인데 인도는 5위고요. 그다음에 인도네시아 16위, 태국 27위, 싱가포르 30위 등 아세안에 속하는 국가들이 국내총생산 순위도 계속 상승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또 자원도 풍부해서 풍부한 자원, 그다음에 노동력, 큰 내수시장으로 미중 갈등 와중에 중국의 대체 지역으...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30906073528805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